최근에 본 드라마에서 컨택트와 비슷하게 적용할 수 있는 내용을 발견해서 적어본다. 예전에 보았기 때문에 기억이 좀 드문드문 나는 영화다. 기억의 보완을 위해 지피티의 도움을 많이 받았다.
*
GPT가 알려주는 영화 내용
**《컨택트》(Arrival, 2016)**는 드니 빌뇌브 감독이 연출하고, 에이미 아담스, 제레미 레너, 포레스트 휘태커가 출연한 SF 영화야. 테드 창의 단편 소설 **〈당신 인생의 이야기〉(Story of Your Life)**를 원작으로 하고 있어.
줄거리
전 세계 12곳에 거대한 외계 비행 물체가 갑자기 나타나면서, 각국 정부는 이들과의 의사소통을 시도하게 돼. 미국에서는 언어학자 **루이스 뱅크스(에이미 아담스)**와 물리학자 **이언 도넬리(제레미 레너)**가 외계 종족 헵타포드와 접촉하는 임무를 맡아.
루이스는 헵타포드의 언어를 연구하면서, 그들의 문자가 순환형 언어이며, 이를 이해하면 시간의 흐름을 초월할 수 있다는 걸 깨달아. 영화는 이 언어를 배우면서 그녀가 과거, 현재, 미래를 동시에 인식하게 되는 과정을 보여줘.
결국 루이스는 헵타포드가 인간에게 "도구"를 주기 위해 왔으며, 이 도구는 바로 그들의 언어 자체라는 사실을 알게 돼. 이 언어를 습득하면 시간의 개념이 선형이 아니라 순환적이라는 걸 이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루이스는 자신의 미래를 보게 돼.
주요 테마
1. 언어와 사고 방식
영화는 언어가 우리의 인식과 사고를 어떻게 바꾸는가에 대한 철학적 질문을 던져. 헵타포드의 언어를 배우면서 루이스는 시간 개념 자체를 새롭게 경험하게 돼.
2. 운명과 선택
루이스는 미래를 알게 되지만, 그것을 바꿀 수 있을지 고민하게 돼. 시간이 선형적이지 않고 원형으로 순환하기에, 몸은 지금 이 순간에 있지만 미래를 동시에 보게 돼. 그래서 지금 이 순간 선택을 해야 하지.
3. 소통과 협력
외계인과의 의사소통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이 협력해야 하는 상황도 중요한 요소야. 언어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면 오해가 생기고, 이는 갈등과 전쟁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줘.
감독 스타일과 분위기
드니 빌뇌브 특유의 느리고 서정적인 연출, 미니멀한 음악(요한 요한손 작곡), 몽환적인 분위기가 돋보이는 작품이야. 단순한 외계 침공 영화가 아니라, 깊은 철학적 질문을 던지는 SF 드라마에 가깝지.
결말 (스포 주의)
루이스는 헵타포드 언어를 완전히 이해하면서 미래를 볼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돼. 이를 이용해 중국 장군과 소통하고, 전 세계가 전쟁을 피하도록 유도해. 동시에 그녀는 자신의 딸 해나가 유전병으로 어린 나이에 세상을 떠날 운명을 알면서도, 이언과의 사랑과 출산을 선택하게 돼.
이 영화는 **시간이 선형적이지 않다면, 우리는 미래를 바꿀 수 있을까?**라는 질문을 던지며 끝나.


나의 감상평
- 드라마 <또오해영>과 연결하여
우리의 시간은 선형적이다.
과거-현재-미래 순으로 차곡차곡 흘러간다.
과거가 시시각각 현재가 되고, 미래는 아직 모른다.
그렇기에 시제라는 것이 탄생했다.
그런데 만약 우리도 헵타포드의 언어를 배워,
과거 -현재 - 미래가 머릿속에서 순환한다면?
처음과 끝이 구분되지 않는 동시적 세계 속이라면?
현재를 살고 있지만 동시에 미래를 사는 것과 마찬가지다.
그렇다면, 마음이 현재를 넘어 미래를 본다는 <또오해영>의 설정 역시 가능해진다. 이 드라마 속 정신과 의사는 이를 '영적 능력이 강한 사람들의 특이한 방식' 처럼 표현했는데, 다르게 보면 <컨택트> 속 '다른 시간개념 그 자체'로 받아들일 수도 있을 것이다.
이 드라마에서는 박도경(에릭)이 사고를 당해 누워있는 순간이 이미 "지금"이다. 동시에 박도경의 몸은 의사와 상담하고, 오해영(서현진)과 사랑하고, 음향 작업을 하는 "지금"을 살고 있다. 과거-현재-미래가 동시적으로 흐르는 것이다. 그러나 마음은 특정 순간의 강렬한 기억에 이끌린다. 그 기억을 반복해서 떠올리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인생의 주요한 터닝 포인트 - 즉 "사고를 당한 순간"의 시점에 계속 가는 것이다. 박도경은 자기 인생의 마지막 순간에 주마등처럼, 이전의 기억을 차르르 떠올린다. 오해영(서현진)의 첫만남부터, "지금" 현재 그녀를 보고 있는 시점까지.
바로 이것이 마음이 미래를 알고 있다는 말의 의미이다. 마음은 순환성을 지닌 시간의 흐름 속을 달리는 것이다.
그렇다면, 미래를 미리 알고 있다면, 바꿀 수도 있을까?
바꾸게 된다면 그 미래가 달라질까?
바꿀 수는 있을까?
이는 운명에 저항할 의지가 있는지, 그 운명에 대한 우리의 태도·마음이 어떤지에 따라 크게 갈릴 것이다.
많은 예언물, 시간여행물에서 운명의 결정자인 주인공은 미래가 스스로에게 고통을 줄 것을 알면서도, 그 미래를 사랑하게 되어서 스스로 같은 선택을 하게 된다. 사실은 선형적인 흐름을 가진 우리의 현실에서도 아주 단순한 사례가 있다. 비혼이 디폴트가 되었지만 그럼에도 결혼하는 사람들. "결혼하면 힘들어~ " 하는 말을 들으면서도 결혼을 선택하지 않는가? 물론 일반론적인 이야기고, 나는 다를 거라 기대하면서 선택하는 사람들도 많지만, 또 많은 사람들이 결혼을 선택한 이유가 있을 것이다. 그 이유의 핵심에는 이런 마음이 있을 것이다.
"그 사람과 함께하는 미래를 너무나 사랑하게 되어버렸으니까."
"어떤 고난과 역경이 와도 너와 헤쳐나가고 싶다는 의지가 생겼으니까."
즉 마음이 이미 선택을 내린 것이다. 주어진 운명을 수용하고, 담대히 걸어가기로. 다른 선택을 했다면 편했을지 모르지만, 함께라는 선택에 비해 마음에게는 가치나 의미가 훨씬 덜했을 것이다. 선택하지 않을 이유가 선택할 이유에 비해 너무 적은 것이다. 나는 너를 사랑하는 100가지의 이유가 있고, 결혼이라는 제도가 나에게 초래할 고통을 어렴풋이 인지하면서도 너와 함께 그걸 감당할 선택을 하는 것이다. 사람에게는 '촉'이라는 것이 있지 않은가? 단지 <컨택트>,<또오해영>의 주인공들에게는 그 촉이 예언자 급으로 선명하게 발달한 것이라 이해해보면 어떨까. 단지 우리는 그 고통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가치관과 성향을 비롯한 자신의 기준에 어느정도 부합하는 사람을 만나려 애쓰는 것이다.
이 운명도 처음엔 흐릿했을지 몰라도 누군가를 만나는 과정을 통해 점차 선명해지다 뚜렷해졌을 것이다. 박도경의 미래는 특정 시점 이후에 사고를 당한다는 미래로 굳혀지고 있다. 이 운명에 저항할 것인가? 피해갈 것인가? 이는 그의 의지와 마음에 달렸다.
'기록 >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에올> - 혼돈을 견디는 사랑에 대하여 (스포 포함) (0) | 2025.04.16 |
---|---|
<스윙걸즈> - 취주악 재즈밴드 들어가고 싶어지는 영화 (2) | 2025.04.07 |
< 이터널 선샤인 > - 다시봐도 새로운 (0) | 2025.02.18 |
<위키드> 관람후기 (0) | 2024.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