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독서

신화로 읽는 남성성 "He"

늘보고영 2024. 9. 19. 13:04

독서가 너무 안되서 정리해봄
이 책은 비유가 많아서 그냥 읽으면 이게 뭔 말인가... 싶음
신화를 현대심리학적으로 해석해놓은 듯?


1. 어부왕

개개인의 내면에 존재하는 어부왕이 통치를 잘해야 외부세계의 일도 잘 진행됨.
어부왕의 상처 = 청년기에 상실하는 천진함과 낙관주의

  • 물고기 = 내면의 그리스도, 의식(Conciousness)
  • 물고기를 잡음 = 의식과의 첫 만남
  • 청소년기 물고기를 잡다가 생긴 상처 = 만남이 초래한 불가피한 상처나 시련, 현대의 상처입은 비전

 
 

   인간 심리 진화의 단계

 
1) 어린시절
: 무의식 상태의 완전함

  • 순전한 온전함, 천진함
  • 내면 세계와 외적 세계의 통합

          ↓

삶의 이중성을 깨달음                                 ---------------->   어부왕의 상처
(세상의 분리성, 이원성)                                                      인류의 낙원 추방 / 현대 문학작품 속 영웅의 상실과 소외

          ↓ 

2) 중년기
: 의식적 불완전함

  • 내면 세계와 외적 세계의 분리, 분화

          ↓

깨달음에 이름                                           -----------------> 천상의 예루살렘(=에덴동산) 으로 다시 향하는 여정

          ↓

3) 노년기
: 의식적 완전함

  • 내면 세계와 외적 세계의 의식적 화해
  • 조화로운 온전함 성취

여성은 남성이 자각하기도 전에 남성이 앓는 "어부왕의 상처"를 알아차림. 
남성은 종종 잊혀지지 않는 상처와 불완전함을 치유하기 위해 무의식적으로 외부세계에서 해결책을 모색함.
ex. 결혼, 일, 사는 공간에 대한 불평....
 
 

   내면의 바보

 
성배신화는 현대인의 고통의 특질을 설명
치유를 위해서는 어린아이처럼 순진하고 바보같은 부분이 삶으로 들어와야 함
 
 


2. 파르시팔 (Parcifal)